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단백질 보충제 선택 기준- 성분표 해석부터 식약처 인증까지 제대로 알아보기
    카테고리 없음 2025. 6. 30. 08:09

    단백질 보충제 선택 기준- 성분표 해석부터 식약처 인증까지

    성분표를 분석하고 식약처 인증 마크를 확인하는 소비자 캐릭터 일러스트
    단백질 보충제를 고를 땐 '성분'과 '인증'이 핵심입니다.

    단백질 보충제, 아무거나 먹어도 될까?

    운동 후 단백질 보충은 선택이 아닌 필수지만, 무엇을 먹느냐에 따라 결과는 천차만별입니다. 수많은 제품 중에서

    믿고 선택할 수 있는 기준

    은 무엇일까요? 오늘은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단백질 보충제 선택 기준을 구체적인 브랜드 사례와 함께 알려드립니다.

    1. 성분표, 그냥 지나치지 마세요

    제품 뒷면에 있는 성분표(영양정보)는 제조사의 '진심'이 담긴 부분입니다. 단백질 함량은 1회 섭취량 대비 최소 20g 이상이 권장되며, 첨가당(설탕), 합성향료, 팜유 등의 유무도 꼼꼼히 확인하세요.

    • WPI (분리유청단백): 유당이 제거되어 소화에 부담이 적고 고단백
    • WPC (농축유청단백): 가격은 저렴하지만 유당 함량이 많음
    • rTG 오메가 3, 비타민, 프로바이오틱스 등 부가 성분도 체크

    2. 식약처 인증 vs 일반 건강식품, 차이는 분명합니다

    믿을 수 있는 단백질 보충제를 고르려면 식약처 인정 마크를 확인하세요. '건강기능식품' 문구와 함께 기능성 인증 번호가 기재되어 있어야 합니다. 단순 식품보다 훨씬 더 까다로운 기준을 통과한 제품입니다.

    예를 들어, 시중에는 다양한 단백질 보충제가 판매되고 있으며, 일부 제품은 건강기능식품이 아닌 일반 식품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또, HACCP 인증 공장에서 제조되었다고 해도 식약처의 기능성 인증과는 별개입니다. 따라서 구매 전에는 제품 라벨을 통해 '건강기능식품' 문구와 인증번호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3. HACCP 인증, 위생과 안전의 기본

    식약처 인증은 아니지만 HACCP(해썹) 인증은 제품의 위생 관리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제조·포장·유통 모든 과정이 식품 안전 기준을 충족했음을 의미하며, 최근에는 소비자들이 브랜드 신뢰도를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합니다.

    4. 브랜드 사례 비교로 보는 체크포인트

    브랜드 건강기능식품 여부 HACCP 인증(공장 기준) 성분표 투명성
    A사 ❌ 일반 식품 ❌ 별도 표기 없음 중간 (WPI 원료, 당류 무첨가 등 표기)
    B사 ❌ 일반 식품 (수입) ⭕ 제조사 HACCP 기준 적용 우수 (영문 성분표, 알레르기 정보 포함)
    C사 ⭕ 건강기능식품 ⭕ HACCP 인증 공장 생산 우수 (기능성 인정 및 의무 표시)

    결론- 선택 기준은 ‘성분 + 인증 + 제조사 신뢰도’

    단백질 보충제는 단순히 ‘단백질 많아 보인다’는 이유로 선택하면 후회할 수 있습니다.

    성분표는 숫자보다 진실을, 인증은 마케팅보다 근거를 보여줍니다.

    자신의 건강과 시간을 위해, 오늘부터는 선택 기준을 갖고 현명한 소비를 시작해 보세요!

    📌 관련 키워드: 단백질보충제, 성분표 보는 법, 식약처인증, HACCP, 건강기능식품, 단백질선택기준, 운동영양, 프로틴 추천